|
|
|
|||||||||||||
|
|||||||||||||
/ 산부인과 황맹균 소장 요실금이란? 요실금이란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는 증상으로 갑작스럽게 배 복압이 상승할 경우 즉, 기침, 재채기하거나 뛰거나 줄넘기 운동 및 크게 웃을 경우나 소변이 보고싶은 느낌이 있을 시에 바로 소변이 흘러내리는 경우를 말한다. 요실금은 성인 여성의 35~40%, 성인 남성의 2~5%의 빈도가 있다고 보고 하는데, 요실금 증상이 심하면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야 한다. 그래서 운동, 외출, 여행 등의 사회 활동과 개인 위생,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요실금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한데, 자연분만 후 노화로 방황지지근육 약화로 방광과 요도가 복압을 견디지 못하고 위치가 느슨해져서 요실금이 생기는 경우가 제일 많으며, 폐렴, 골반부수술, 당뇨의 합병증, 중추 및 말초신경질환, 방사선치료, 만성방광염 등으로 요도 괄약근이 기능 저하로 발생할 수도 있다.
요실금의 종류로는 ①복압성 요실금 : 배 복압이 올라갈 때 즉 기침, 재채기, 뛰거나 크게 웃거나 줄넘기를 할 경우 소변이 흘러내리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과 출산으로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골반저근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외 폐경에 의한 요도의 접합유지 기능 약화, 골반 부위의 수술, 골반장기탈출증, 비만, 천식도 원인이 된다. ②절박성 요실금 :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들어서 화장실 가는 도중, 옷을 내리기도 전에 소변을 참지 못하고 소변을 조금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과민 성방광, 뇌졸중, 척수손상 등의 신경계손상, 방광염이 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③복합성 요실금 :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형태이다. ④심인성 요실금 :신경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나는 요실금이다. 방광과 요도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환자 자신이 소변을 아무때나 아무 곳에서 보면 왜 안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옷을 입은 상태로 소변을 보는데 치매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일류성, 진성 요실금 등 다양한 요실금 종류가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요실금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력청취, 신체검사, 배뇨일지, 요역동학검사, 소변검사 등을 하는데 대표적인 요실금 검사로 요역동학검사가 있다. 요역동학검사란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가장 자세히 알 수 있는 검사인데,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가는 관을 삽입한 다음, 관을 통해 서서히 물을 주입하여, 환자는 요의와 배뇨 과정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검사이다. 요실금 치료방법으로는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물, 바이오피드백, 케겔운동과 같은 비수술적치료와, 슬링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있다. 비수술적 치료인 골반저근운동은 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드는 운동으로 케겔운동이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골반저근을5~10초간 지속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는 운동을 한번에 10회씩 하루에 8~10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 좋으며, 꾸준한 훈련이 중요하다. 바이오피드백은 골반저근의 수축을 감지하는 기구를 장착한 후, 운동을 하면서 골반저근이 제대로 수축되는지, 수축 강도는 어떤지 컴퓨터 모니터를 이용하여 환자 자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다. 환자는 이러한 과정을 모니터하면서 올바른 골반저근 수축 운동을 시행할 수 있다. 요실금 수술 등의 치료의 경우 개인에 따라 치료에 따른 거부 반응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도 있어 숙련된 병원 및 산부인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하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