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의 중요성은 재차 강조되지만 생활이 바쁘다는 이유로, 당장
아픈 곳이 없다는 이유로, 검진이 겁이 난다는 이유로 차일피일 미루는 경우가 있다. 왜 건강검진을 해야 하는지, 내게 맞는 건강검진은
무엇인지 알고 보다 적극적으로 건강검진에 참여해보자.
패키지형 건강검진이 많은 요즘, 유의해야 할 점도 있다. 매년 받는
건강검진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었는데도 폐암, 대장암 등이 뒤늦게
발견돼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종합건강검진이 모든
질병을 찾아내 줄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에 따라 자신의 나이나 건강
위험성에 따라 검진을 좀 더 집중해서 받지 않았거나, 검진 후 추가적
인 선별 검사를 소홀히 한 탓도 있다.
건강검진의 목적은 미리 검사를 받아 질병을 조기에 찾아내는 것이
다. 따라서 혈압, 혈당, 소변검사 등 기본적인 검진은 최소 비용을 들여 매년 하고, 나머지는 상담을 통하여 자기 나이의 건강 위험 수준에
따라 선별 정밀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상품형 또는 패키지형 종합검진에는 위내시경, 복부 초음파, 유방 촬영술, 자궁 세포진 검사 등이 기본으로 포함돼 있다.
따라서 위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검진이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대장암이 중년층에서 급속히 늘고 있다. 기존의 건강검진은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지를 보는 대변 잠혈 검사에 그치거나 직장경 검사를 주로 하게 된다.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정상이면 최소 3~5년 간격으로 받으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유방암이 비교적 높은 연령에서 발견되는
서구와 달리 40대에도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방에 멍울이 자주 잡히는 경우에는
유방 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받는 것이 좋다.
간암은 만성 간염 보균 상태에서 대개 40~50대에 발생한다. 간염
보균자라면 복부 초음파 외에 복부 CT촬영을 한번은 받아 보는 게 좋다. 50세가 넘었는데
비만이거나 고지혈증, 당뇨가 있으면 심장 CT를 찍어 관상동맥을 볼 필요가 있다.
멀쩡히 지내다 심근경색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건강검진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건강검진에 참여해 질병을 조기에 예방토록 하자.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1위인 암을 알아보자.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걸리는 위암의 경우는 조기에 치료할 경우 5년 생존률이 95%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진행이 된 위암은 21%로 떨어집니다.
사망원인 중 2위인 순환기계 질환의 원인이 되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의 질환들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방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사람도 겉으론 건강해 보이지만 큰 질환의 초기단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기발견 및 조기 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